티스토리 뷰
목차
멀티버스의 혼란, 그러나 그 안에 담긴 가장 인간적인 이야기.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는 장르의 경계를 허물고, 감정과 철학, 유머와 액션을 한데 엮은 2023년 오스카 7관왕 대작입니다. 이야기의 핵심은 결국 "지금, 여기, 함께하는 사람"입니다.
🎞️ 영화 줄거리 요약
에블린은 남편, 딸과 함께 미국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 평범한 중국계 이민자 여성이다. 세금 문제로 국세청에 불려간 날, 그녀는 전혀 다른 차원의 남편으로부터 ‘우주의 균형을 구해야 한다’는 믿기 힘든 제안을 받는다. 에블린은 순식간에 수많은 평행우주와 연결되며, 각기 다른 삶을 살아온 ‘다른 에블린’의 기억과 능력을 갖게 된다.
하지만 그 모든 우주의 종말을 불러오고 있는 존재는 다름 아닌 자신의 딸, 조이다. 조이는 멀티버스를 헤매다 ‘아무 의미도 없다’는 허무주의에 빠졌고, 에블린은 딸을 구하기 위해 무한한 가능성과 혼란 속에서, **지금의 나, 지금의 가족, 지금의 존재 의미**를 되찾으려 한다.
카툰같은 유머, 액션, 감정이 폭발하며 펼쳐지는 이 영화는 단순한 SF가 아니다. ‘내가 어떤 삶을 선택했든, 지금 이 삶이 가장 소중하다’는 통찰을 전 우주적 스케일로 풀어낸 감성 SF 명작이다.
1. “별거 아닌 삶”이 진짜 중요한 이유
에블린은 평범하다. 낙오자 같고, 가족과도 멀어져 있으며, 인생이 실패했다고 느낀다. 하지만 멀티버스를 넘나들며 ‘잘나가는 셰프’, ‘무술 고수’, ‘영화배우’ 등 다양한 가능성을 경험한 그녀는, 결국 지금 이 삶이 가장 소중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우리가 ‘다른 선택’을 꿈꾸는 이유는 지금의 삶이 부족해 보여서지만, 영화는 말한다. “모든 가능성을 본 후에도, 지금의 삶을 선택할 수 있다면, 그것이 진짜 사랑이고 의미다.” 이 메시지는 평범한 우리의 인생을 **찬란한 선택의 결과물**로 바라보게 만든다.
2. 세상의 끝, 그리고 가족의 시작
조이는 멀티버스의 끝을 보며 모든 것이 무의미하다고 선언한다. 그녀가 만드는 ‘베이글 블랙홀’은 우주 전체를 삼켜버릴 만한 허무의 상징이다. 하지만 그 절망의 중심에서, 에블린은 “무의미 속에서도 네 곁에 있겠다”고 말한다.
딸과의 갈등은 ‘세대 차이’가 아닌 ‘의미에 대한 해석 차이’다. 조이는 아무 의미도 없는 세계에 좌절하고, 에블린은 그런 조이의 손을 잡는다. 이 장면은 단순한 화해가 아니라, **삶의 해석에 대한 선택과 연대**다. 가족은 ‘이해’보다 ‘있어주는 것’이 먼저임을 이 영화는 가르쳐준다.
3. 멀티버스도 뚫지 못한 감정 – 너와 함께여서 좋았다
평행우주 속에서 에블린은 남편과 헤어졌던 인생도, 스타가 된 인생도 경험한다. 하지만 모든 우주를 돌아본 뒤, 그녀가 가장 그리워한 건 남편 웨이먼드였다.
웨이먼드는 작고 소심하며 눈에 띄지 않지만, 늘 친절하고, 다정하고, 사람들을 연결시킨다. 그는 무술도, 초능력도 없지만, **세상을 바꾸는 힘은 ‘다정함’이라고 믿는다.** 그의 명대사 “Be kind, especially when we don’t know what’s going on”은 모든 혼돈 속에서도 우리가 붙잡아야 할 태도를 말해준다. 에블린은 멀티버스를 통해 남편의 진심을 깨닫고, 그와 함께하는 현재를 선택한다.
4. 세탁소, 콘서트홀, 핫도그 손가락 – 세계는 의미로 가득하다
영화는 어마어마한 양의 비주얼과 장르 패러디, 감정의 폭발을 동시에 펼쳐 보인다. 핫도그 손가락, 바위 대화, 애니멀 무기, 요리 배틀까지—말도 안 되는 장면이지만, 그 안에 담긴 감정은 진짜다.
바위가 되어 조용히 앉아 있는 장면에서조차, “그래도 네가 있어서 다행이야”라는 메시지는 전달된다. 무질서한 형식 속에서도 영화는 오히려 더 순수하게 감정을 전달한다. 이것이야말로 **21세기 영화의 새로운 언어**, 새로운 감정 표현 방식이다.
5. 🎖️ 다니엘스 감독의 실험과 2023년 아카데미 7관왕 수상 내역
다니엘 콴 & 다니엘 쉐이너트, 일명 ‘다니엘스’ 감독 듀오는 인디 영화 출신으로, 상업성과 예술성을 경쾌하게 융합시킨 천재 연출 팀입니다.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는 단 2500만 달러의 저예산으로 제작되었지만, 창의적인 연출과 실험적인 서사로 전 세계 영화계를 사로잡았습니다.
🎖️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 수상 내역 (2023):
- 🏆 작품상 (Best Picture)
- 🏆 감독상 (Best Director – 다니엘스)
- 🏆 여우주연상 (Best Actress – 미셸 여)
- 🏆 남우조연상 (Best Supporting Actor – 키 호이 콴)
- 🏆 여우조연상 (Best Supporting Actress – 제이미 리 커티스)
- 🏆 각본상 (Best Original Screenplay)
- 🏆 편집상 (Best Film Editing)
미셸 여는 아시아계 최초 여우주연상 수상자가 되었고, ‘고이니’ 역의 키 호이 콴은 30년 만에 배우로 복귀해 감동적인 수상의 순간을 만들었습니다. 이 영화는 **모든 것이 가능한 시대에, 가장 인간적인 것을 선택한 작품**으로 영화사의 한 장을 썼습니다.
📚 오스카 수상작 5부작 – 완결
다섯 편의 오스카 수상작은 각기 다른 시대, 다른 주제, 다른 감정으로
우리를 흔들고 위로합니다. 지금 당신이 어떤 순간에 있든, 한 편의 영화가 가장 따뜻한 위로가 될 수 있습니다.
- 🥇 Part 1: 노매드랜드 (Nomadland)
- 🥇 Part 2: 기생충 (Parasite)
- 🥇 Part 3: 더 킹스 스피치 (The King's Speech)
- 🥇 Part 4: 코다 (CODA)
- 🥇 Part 5: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